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기후동행카드 신청하기 텍스트

     

    서울에서 지하철과 버스 등을 한 달에 6만 5000원으로 무제한 이용하는 대중교통 정기권 '기후동행카드'이 정식으로 도입된 지 벌써 반 년이 흘렀습니다. 일정 금액을 횟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에 관해서 오늘 한번 낱낱이 파헤쳐보려고 합니다.

     

    기후동행카드란?

     

   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도입한 월정액 대중교통 통합 이용권입니다. 사용자는 매 월 일정 금액(62,000원 또는 65,000원)을 지불하고, 한 달 동안 서울 내 지하철과 시내・마을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65,000원권은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포함해 대중교통과 공유 자전거를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• 요금

    30일권(따릉이 포함): 65,000원

    30일권(따릉이 미포함): 62,000원 

    🚨 청년(만 19~39세)은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 가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• 이용 범위 : 서울 지역 지하철 + 김포골드라인・진접선・별내선・고양시 구간・과천시 구간, 서울시 면허 시내・마을버스, 따릉기

    • 이용 제외 : 신분당선, 서울지역 외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, 타 지역 면허버스

    • 이용 예정 : 2025년 여름부터 성남(수인분당선), 의정부

    🚨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 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

    🚨 지하철의 경우 이용 범위 내 역에서 승차 후 이용 범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기후동행카드 vs 기존 교통카드

     

    기후동행카드와 기존 교통카드는 주요 목적과 이용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.

     

    1. 이용 목적

    기후동행카드 : 대중교통의 무제한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, 대중교통 활성화와 기후위기 대응을 목적으로 하고있습니다.

    기존 교통카드 : 사용자가 이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, 목적은 대중교통 이용의 간편함 제공에 있습니다.

     

    2. 요금제

    기후동행카드 : 월정액으로 한 달 동안 정해진 범위 내에서 무제한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.

    기존 교통카드 : 거리와 노선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고, 승차 시마다 요금이 차감됩니다. (환승은 예외)

     

    3. 이용 가능 범위

    • 기후동행카드 : 서울 내 지하철(1~9호선 등),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에서 사용이 가능하고, 선택 시에는 공공자전거 따릉이도 포함됩니다. 하지만 경기도・인천시 면허의 버스나 광역 버스 등 일부 노선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.

    기존 교통카드 : 광역버스, 경기도・인천 노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사용이 가능하고, 서울 시계를 넘어선 교통수단도 포함됩니다.

     

    4. 사용 방식

    기후동행카드 : 월정액을 선결제하거나, 후불 기능이 추가된 카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정기권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매 월 갱신해야 합니다.

    • 기존 교통카드 : 충전한 금액 또는 후불 카드로 이용할 때마다 요금이 즉시 차감됩니다.

     

    5. 혜택

    기후동행카드 : 무제한 이용 혜택으로 출퇴근 시간 및 자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특히 경제적입니다.

    기존 교통카드 : 거리별 요금 체계로, 이동 횟수가 적은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카드 신청방법

     

    기후동행카드에는 모바일 카드 / 실물 카드 두 종류가 있습니다. 이에 따른 신청 방법을 아래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
     

    1. 모바일 카드

    ►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받기

    ► 회원가입 하기

    ► 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하기

    *결제수단: 계좌이체, 본인명의 신용・체크카드

    *OS 12 이상 사용 가능

     

    2. 실물 카드

     서울교통공사(1~8호선)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 방문하기

     기후동행카드 구매하기

     카드 뒷면 QR코드를 통해 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 등록하기

     구매한 카드를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기

    *결제수단: 현금, 신용・체크카드 (법인카드 불가능)

    *실물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'티머니 카드&페이'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 필요 (1인 1카드 원칙)

    *카드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 불가